변혁사상 논쟁 700쪽 책 낸 방인혁(78정외)동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09-05-22 10:31 조회17,00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방인혁(78 정외) 동문이 ‘기념비적인 책’을 냈습니다. 1970년대 후반부터 2009년 현재까지 한국의 변혁운동과 사상논쟁의 역사를 총괄하는 700쪽 분량의 역작(力作)을 탈고했습니다. <한국의 변혁운동과 사상논쟁>(소나무 출판사 발행) 제목의 이 책은 마르크시즘, 주체사상, NL론, PD론, 뉴라이트까지 변혁사상의 한국적 수용과 변화의 맥락을 일일이 짚어낸 뛰어난 저술입니다.
먼저 저자인 방 동문은 엄혹한 시대에서 굴곡진 삶을 살아왔습니다. 1960년 부산에서 출생해, 78년에 서강대 정외과로 입학했습니다. 운동권이던 방 동문은 신군부가 권력을 잡은 해인 1980년 10월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구속됐고, 학교에서 제적됐습니다. 약 2년간 투옥생활을 거쳐 82년 8월 출옥한 뒤, 80년대 중반에서 90년대 초반까지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서울민통련, 전민련 등에서 활동했습니다. 85~86년엔 도서출판 한울 편집부장을, 95년엔 도서출판 겨레 기획이사를 맡아 출판에 종사했고, 그 와중에 86년 6개월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감옥신세를 지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2001년 9월 모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입학을 결행했고, 남은 학부 3학기를 마쳤습니다. 이어 모교에서 정치학 학사(2003년), 석사(2005년), 박사(2008년)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 책은 그의 박사학위 논문을 대폭 보강해 내놓았습니다. 현재는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상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분야는 △주체사상의 형성과 내용 △한국 정치이념 논쟁사 △한일 마르크스주의 역사와 현황 비교입니다.
책의 가치는, 좌파 사상의 계보를 시계열을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해 200여명이 넘는 변혁운동 이론가들의 사상적 파노라마를 감별하는 장(場)을 제공한 데 있습니다. 또 각 운동주체의 철저한 자기비판을 바탕에 둔 상태에서 사회구성체 논쟁, 민족모순과 계급모순 논쟁, 식민지 반봉건사회론 논쟁부터 황장엽의 망명, ‘강철서신’ 김영환의 사상전향과 뉴라이트 운동 가담에 이르는 과정까지 변혁사상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과감하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발본적으로 검토’했습니다.
방 동문은 머리글에 해당하는 ‘자기비판과 감사의 글’에서 동문 선후배들에게 감사를 표했습니다.
“1978년 대학에 들어오면서부터 항상 힘이 되어 주셨던 박석률, 강종헌, 이봉조, 장정수, 송영란, 한승동, 이우재, 편무균 선배들에 대한 고마움을 잊을 수 없다. 또한 거의 반평생을 함께 한 이지호, 김호경, 이윤삼, 이훈희 등의 많은 친구들에게도 항상 신세를 졌다. (…) 졸저를 아름답게 꾸며주신 소나무 출판사 유재현 선배님의 믿음이 없었다면 이 책은 세상에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앞서 방 동문은 올해 2월 다산관 강의실에서 나흘에 걸친 공개특강을 맡아 열강(熱講)했습니다. ‘마르크스주의 - 유령인가, 부활인가?’ 제목의 특강은 대학원 총학생회 주최로 열렸고, 재학생뿐만 아니라 많은 일반인들이 참가해 강의를 들었습니다. 방 동문은 마르크스주의 개념, 역사, 방법론 그리고 한국에서의 수용과정을 설명하고 수강생들과 오랜 시간 진지한 토론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차례>
제1장: 마르크스주의와 주체사상은 죽었는가?
제2장: 마르크스,엥겔스 이론의 내적 긴장과 마르크스주의들
제1절 마르크스,엥겔스 이론의 내적 긴장
제2절 마르크스주의들의 분류 기준
제3절 구조중심적 마르크스주의
제4절 주체중심적 마르크스주의들
제5절 역사적 유물론의 재구성 혹은 마르크스주의의 재구조화론
제6절 괴학/비판, 이론/실천, 필연/자유, 구조/주체
제3장: 주체사상의 형성
제1절 마르크스주의들과 북한의 주체사상
제2절 주체사상 형성과 북한식 사회주의 건설과 혁명
제3절 탈냉전 시기 주체사상의 현황과 전망
제4절 계승성과 독창성
제4장: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주체사상 수용
제1절 1980년대 중반 이후 진보이론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제2절 한국의 주체사상 수용과정: 선험적 비판과 교조적 수용
제5장: 탈냉전 이후 한국의 주체사상 연구
제1절 탈냉전 이후 한국 진보이론 논의 지형의 변화
제2절 1990년대 초중반 한국의 주체사상 연구동향
제3절 황장엽 망명 이후 한국의 주체사상 연구현황
제4절 일부 주체사상파의 뉴라이트 운동 전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6장: 사상과 현실의 주체적 만남은 불가능한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